본문 바로가기

[뉴스속보] 85층짜리 초고층 건물 화재 85층짜리 초고층 건물에 불이 났다! 60층으로 된 하층부와 25층으로 된 상층부로 이루어진 85층짜리 초고층 건물에 불이 났다. 이 그림은 몇 년 후에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상황도이다. 지금까지는 119의 고가사다리가 닿지 않는 초고층 화재 시 근본적인 해결책조차 마련되지 않아 속수무책 상태였는데, 이제 초고층 화재 시 해결책이 근본적으로 완벽하게 마련된 것이다. 초고층 화재 발생 시 - 기존 엘리베이터들이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이유는 기존의 엘리베이터들은 상하 이동 시 벽이나 기둥으로 둘러싸인 수직 이동 통로가 있어야만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 그래서 밀폐된 기존 엘리베이터의 수직 이동통로는 건물의 실내가 될 수밖에 없어서 화재 시 굴뚝효과로 엘리베이터가 가장 위험한 장소가 되고 마는 것이었다. .. 더보기
초고층 화재 완벽해결 그 간단한 원리 초고층 화재 발생 시 - 기존 엘리베이터들이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이유는 기존의 엘리베이터들은 상하 이동 시 벽이나 기둥으로 둘러싸인 수직 이동 통로가 있어야만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 그래서 밀폐된 그 이동통로는 건물의 실내가 될 수밖에 없어서 화재 시 굴뚝효과로 엘리베이터는 가장 위험한 장소가 되고 만다. 그렇다면 건물 외부에 이동통로가 필요 없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. 아래 그림처럼. 확대하면 이런 모습이다. 원리는 간단하다. 엘리베이터 통 모서리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그 파이프 속으로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는 줄을 수직으로 내려서 그 바닥에 고리로 고정시킨 다음, 엘리베이터 통만 따로 들어 올렸다 놨다 하면 되는 것이다. 더보기
초고층 화재 완벽해결 그 간단한 원리 초고층 화재 발생 시 - 기존 엘리베이터들이 무용지물이 되고 마는 이유는 기존의 엘리베이터들은 상하 이동 시 벽이나 기둥으로 둘러싸인 수직 이동 통로가 있어야만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 그래서 밀폐된 그 이동통로는 건물의 실내가 될 수밖에 없어서 화재 시 굴뚝효과로 엘리베이터는 가장 위험한 장소가 되고 만다. 그렇다면 건물 외부에 이동통로가 필요 없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. 아래 그림처럼. 확대하면 이런 모습이다. 원리는 간단하다. 엘리베이터 통 모서리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그 파이프 속으로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는 줄을 수직으로 내려서 그 바닥에 고리로 고정시킨 다음, 엘리베이터 통만 따로 들어 올렸다 놨다 하면 되는 것이다. 아! 정말로 어마어마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했는데.. .. 더보기